
법무법인 SEO의 출발점: 검색엔진이 좋아하는 사이트 만들기
June 15, 2025
고객이 우리 로펌을 발견하도록 설정하자
1편에서 보았듯이 고객들은 인터넷을 통해 자신의 사례를 검색하는 것을 시작으로 로펌을 찾게 됩니다. 홈페이지를 아무리 이쁘게 만들어놔도 고객들이 이걸 발견하지 못하면 아무런 소용이 없습니다! 고객들이 검색을 했을 때 우리의 페이지가 잘 노출되는 것이 중요하고 이걸 어떻게 노출시킬 수 있을지 알아봅시다.
검색 엔진의 원리 - 크롤러가 일하는 방식
네이버나 구글에서 "이혼 변호사"
같은 키워드를 검색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검색 엔진은 '크롤러(Crawler)'라는 로봇을 24시간 돌리면서 인터넷의 모든 웹사이트를 방문합니다. 크롤러는 거미(Spider)라고도 불리는데, 거미줄처럼 연결된 인터넷을 타고 다니면서 정보를 수집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에요.
크롤러가 평가하는 3대 핵심 요소
평가 요소 | 설명 | 중요도 | 체크 포인트 |
---|---|---|---|
기술적 완성도 | 웹사이트가 얼마나 빠르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는가? | ⭐⭐⭐⭐⭐ | • 로딩 속도 • 모바일 최적화 • 보안(HTTPS) • 에러 없는 페이지 |
콘텐츠 품질 | 사용자가 찾는 정보를 얼마나 잘 제공하는가? | ⭐⭐⭐⭐⭐ | • 키워드 관련성 • 정보의 깊이 • 정기적 업데이트 • 독창성 |
신뢰도 | 다른 사이트들이 이 사이트를 얼마나 추천하는가? | ⭐⭐⭐⭐ | • 백링크 품질 • 도메인 나이 • 브랜드 언급 • 사용자 행동 |
네이버 vs 구글의 차이점
네이버와 구글은 기본 원리는 비슷하지만, 세부적인 평가 기준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구분 | 네이버 | 구글 |
---|---|---|
알고리즘 모델 | D.I.A. (문서품질-사용자반응-인기도) | E-E-A-T (경험-전문성-권위성-신뢰성) |
자체 플랫폼 우대 | 블로그, 카페, 지식인 우대 | 자체 플랫폼 우대 없음 |
모바일 중요도 | 중요하지만 PC도 고려 | 모바일 우선 인덱싱 |
콘텐츠 길이 | 상대적으로 짧은 콘텐츠도 OK | 깊이 있는 긴 콘텐츠 선호 |
업데이트 주기 | 상대적으로 느림 | 매우 빈번한 알고리즘 업데이트 |
높은 점수를 받은 사이트가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됩니다. 실제로 법무 서비스의 평균 클릭률이 5.30%로 전 업종 중 가장 낮다는 통계가 있는데요, 이는 경쟁이 치열하고 상위 노출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2. Technical SEO - 크롤러가 좋아하는 사이트 만들기
크롤러는 우선 해당 사이트가 '잘' 만들어진 사이트인지를 확인합니다. 마치 손님을 맞이하기 전에 사무실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것과 같죠. Technical SEO는 이런 기술적인 부분을 최적화하는 작업입니다.
📱 모바일 반응성이란?
모바일 반응성(Responsive Design)은 하나의 웹사이트가 PC, 태블릿,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에서 자동으로 화면 크기에 맞춰 조정되는 것을 말합니다.
왜 중요한가요?
- 법률 상담 검색의 65% 이상이 모바일에서 발생
- 구글은 2018년부터 모바일 버전을 기준으로 순위 결정
- 3초 이상 로딩 시 모바일 방문자의 53%가 이탈
⚡ 페이지 속도 - Core Web Vitals 완전 정복
Core Web Vitals는 구글이 2021년부터 순위 결정에 반영하기 시작한 사용자 경험 지표입니다.
지표 | 의미 | 목표 수치 | 개선 방법 |
---|---|---|---|
LCP (Largest Contentful Paint) | 페이지의 가장 큰 콘텐츠가 화면에 표시되는 시간 | 2.5초 이하 | • 이미지 최적화 • CDN 사용 • 서버 응답 시간 개선 |
INP (Interaction to Next Paint) | 사용자가 클릭/터치 후 화면이 반응하는 시간 | 200ms 이하 | • JavaScript 최소화 • 메인 스레드 작업 분할 • 이벤트 핸들러 최적화 |
CLS (Cumulative Layout Shift) | 페이지 로딩 중 레이아웃이 흔들리는 정도 | 0.1 이하 | • 이미지/광고 크기 지정 • 폰트 로딩 최적화 • 동적 콘텐츠 공간 확보 |
속도가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
- 페이지 로딩 1초 지연 → 전환율 7% 감소
- 모바일에서 1초 지연 → 전환율 최대 20% 감소
- 법률 서비스 최적 로딩 시간: 3.1초 미만
🔒 HTTPS 보안 인증서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는 웹사이트와 사용자 간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법무법인에 특히 중요한 이유:
- 개인정보, 사건 내용 등 민감한 정보 보호
- 없으면 크롬에서 "주의 요함" 경고 표시
- 구글 검색 순위에 직접적 영향
- 고객 신뢰도 향상
🏷️ 메타 태그 최적화
메타 태그는 웹페이지의 정보를 검색엔진에 알려주는 HTML 태그입니다.
1) 타이틀 태그 (Title Tag)
검색 결과에서 파란색으로 표시되는 제목입니다.
<!-- 좋은 예시들 -->
<title>강남 이혼전문변호사 | 24시간 무료상담 김변호사</title>
<title>교통사고 합의금 계산 | 보험사 출신 손해사정 전문</title>
<title>상속포기 3개월 지났을때 | 긴급 법률구조 가능</title>
<!-- 나쁜 예시들 -->
<title>법무법인 ABC</title> <!-- 너무 짧고 정보 부족 -->
<title>법무법인 ABC - 최고의 변호사들이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믿을 수 있는...</title> <!-- 너무 길고 키워드 없음 -->
타이틀 작성 공식:
[전문분야] + [지역] + [강점/혜택] | [법무법인명]
2) 메타 디스크립션 (Meta Description)
검색 결과에서 제목 아래 나오는 설명문입니다.
<meta name="description" content="15년 경력 교통사고 전문변호사가 24시간 무료상담 제공. 보험사 협상부터 소송까지 승소율 95%. 선입금 없이 성공보수로 진행. ☎️ 02-1234-5678">
메타 디스크립션 작성 팁:
- 120-158자 범위 (한글 기준)
- 감정적 어필: "긴급", "24시간", "즉시"
- 구체적 수치: "승소율 95%", "15년 경력"
- CTA(Call-to-Action): "지금 전화주세요"
- 특수문자 활용: ☎️ ✓ ▶
3) 헤더 태그 (H1~H6)
페이지 내용의 구조를 나타내는 제목 태그입니다.
<h1>교통사고 전문 변호사가 알려주는 합의금 계산법</h1>
<h2>교통사고 합의금의 구성 요소</h2>
<h3>1. 치료비</h3>
<h3>2. 휴업손해</h3>
<h3>3. 위자료</h3>
<h2>보험사가 알려주지 않는 합의 팁</h2>
🗺️ 사이트 구조 최적화
XML 사이트맵
사이트맵은 웹사이트의 모든 페이지 목록을 담은 파일로, 크롤러가 사이트를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게 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urlset xmlns="http://www.sitemaps.org/schemas/sitemap/0.9">
<url>
<loc>https://example-law.com/divorce-lawyer</loc>
<lastmod>2024-06-15</lastmod>
<changefreq>weekly</changefreq>
<priority>0.8</priority>
</url>
</urlset>
robots.txt
크롤러에게 어떤 페이지를 수집하고 어떤 페이지를 제외할지 알려주는 파일입니다.
User-agent: *
Allow: /
Disallow: /admin/
Disallow: /private/
Sitemap: https://example-law.com/sitemap.xml
📊 구조화된 데이터 (Schema Markup)
구조화된 데이터는 검색엔진이 페이지 내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코드입니다. 법무법인은 LegalService 스키마를 사용해야 합니다.
{
"@context": "https://schema.org",
"@type": "LegalService",
"name": "법무법인 ABC",
"image": "https://example-law.com/logo.jpg",
"url": "https://example-law.com",
"telephone": "+82-2-1234-5678",
"address": {
"@type": "PostalAddress",
"@id": "https://example-law.com/#address",
"streetAddress": "테헤란로 123 법조빌딩 5층",
"addressLocality": "강남구",
"addressRegion": "서울특별시",
"postalCode": "06236",
"addressCountry": "KR"
},
"geo": {
"@type": "GeoCoordinates",
"latitude": 37.123456,
"longitude": 127.123456
},
"openingHoursSpecification": {
"@type": "OpeningHoursSpecification",
"dayOfWeek": ["Monday", "Tuesday", "Wednesday", "Thursday", "Friday"],
"opens": "09:00",
"closes": "18:00"
},
"priceRange": "$$",
"servesCuisine": ["형사변호", "민사소송", "가사소송", "행정소송"],
"aggregateRating": {
"@type": "AggregateRating",
"ratingValue": "4.8",
"reviewCount": "127"
}
}
이렇게 구조화된 데이터를 적용하면 검색 결과에서 별점, 리뷰 수, 영업시간 등이 함께 표시되어 클릭률이 크게 향상됩니다.
✋ 여기까지, 검색엔진이 “좋아하는” 사이트 만들기였습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Technical SEO는 마치 법무법인의 인테리어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깔끔하고 안정적으로 구성된 사무실, 신뢰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는 위치와 간판처럼, 검색 엔진에게도 우리 사이트가 “잘 정리된 공간” 으로 인식되어야 노출될 기회가 생깁니다.
하지만 아무리 사무실이 정돈되어 있다고 해도, 고객이 원하는 정보가 없다면 방문의 의미가 없습니다.
검색창에 질문을 입력한 고객에게 정확하고 유용한 답을 주는 콘텐츠, 바로 그게 진짜 승부처입니다.
👉 다음 편에서는, 고객이 실제로 검색하는 질문에 어떻게 답할 수 있을지를 중심으로 ‘Contents SEO’ 전략을 상세히 알아봅니다.
키워드 선택부터, E-E-A-T 원칙, 콘텐츠 구성 팁까지 로펌에 최적화된 콘텐츠 전략을 함께 설계해봅시다....